안녕하세요 오늘은 Tree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Tree란 말 그대로 나무라는 의미인데
위 그림처럼 줄기가 있고, 가지가 뻗어 있고, 가지 끝에 나뭇잎이 달려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 라고 해서 Tree라고 합니다.
하나에서 시작해서 여러 갈래로 나뉘어 가는 형태가 Tree입니다.
Tree의 형태를 보면 나무를 뒤집어 놓은 형태인데 아래와 같습니다.
맨 위에서부터 시작하는데 맨 처음 시작하는 노드를 Root
노드(node)들과 노드들을 연결하는 하는 부분을 간선(edge)
각 간선 끝에는 노드가 연결 되어 있는데 이 노드를 자식노드(Child Node)
자식노드 상위에 있는 노드를 Parent Node 라고 합니다.
이건 상대적인 개념인데 Root 노드는 모든 노드의 항상 부모가 되고, 자식노드도 자식노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계속 각 노드는 간선을 가질 수 있고, 갯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한 개 가질 수 도 있고, 한 개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고, 100개를 가질 수도 있고 만개를 가질 수 도 있습니다.
그런데 자식이 없는 노드(맨 말단에 있는 노드)들을 잎(leaf)이라고 하는데 이를 leaf node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같은 층에 있는 노드들을 Sibling, 형제노드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것이 Tree구조 입니다.
이거를 컴퓨터에서 어떨 때 쓰냐면 가장 대표적인게 'File'이다. 'directory'구조(또는 폴더 구조)에서 많이 쓰입니다.
이제 Tree를 실제로 만들어보죠. 어떻게 만들면 좋을까요?
Tree의 기본 단위는 노드입니다. 노드는 어떤 값을 가질 수도 있고, 노드는 노드안에 자식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노드 구조를 봐야하는데
type Node struct {
Val int
childs []*Node
}
Val값은 아무거나 될 수 있습니다. int형이 될 수 있고, String이 될 수 있는데 Node가 표현 하는 값이 있고 자식노드들이 있습니다.
이 자식들은 여러개가 올 수 있기 때문에 Slice로 받을 것이고, 자식노드의 포인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노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만들어보죠.
dataStruct폴더에 tree.go라는 파일을 추가해보죠.
package dataStruct
type TreeNode struct {
Val int
childs []*TreeNode
}
type Tree struct {
Root *TreeNode
}
아까 말했던 TreeNode와 Root만 가지고 있는 Tree struct를 만들어 줍니다.
시작점만 알고 있으면 모든 Tree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Root add를 시켜보죠.
func (t *Tree) AddNode(val int) {
if t.Root == nil {
t.Root = &TreeNode{Val:val}
} else {
t.Root.childs = append(t.Root.childs, &TreeNode{Val: val})
}
}
Root가 없으면 Root부터 만들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Root는 TreeNode를 만들어주고, val값을 초기값으로 초기화 시켜주고, Root가 존재하면 append로 childs에 새로운 노드를 추가시켜 줍니다.
여기까지 TreeNode를 만들었고, TreeNode는 child 노드를 가지고 있고, Tree는 Root 노드를 가지고 있는 형태가 됩니다.
Tree는 여기까지하고, 다음에는 이 Tree를 순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순회하는 방법은 DFS가 있고, BFS가 있는데 깊이 우선 검색과 너비 우선 검색으로 알면 됩니다.
풀소스
package dataStruct
import "fmt"
type TreeNode struct {
Val int
Childs []*TreeNode
}
type Tree struct {
Root *TreeNode
}
func (t *TreeNode) AddNode(val int) {
t.Childs = append(t.Childs, &TreeNode{Val: val})
}
func (t *Tree) AddNode(val int) {
if t.Root == nil {
t.Root = &TreeNode{Val: val}
} else {
t.Root.Childs = append(t.Root.Childs, &TreeNode{Val: val})
}
}
func (t *Tree) DFS1() {
DFS1(t.Root)
}
func DFS1(node *TreeNode) {
fmt.Printf("%d->", node.Val)
for i := 0; i < len(node.Childs); i++ {
DFS1(node.Childs[i])
}
}
func (t *Tree) DFS2() {
s := []*TreeNode{}
s = append(s, t.Root)
for len(s) > 0 {
var last *TreeNode
last, s = s[len(s)-1], s[:len(s)-1]
fmt.Printf("%d->", last.Val)
for i := len(last.Childs) - 1; i >= 0; i-- {
s = append(s, last.Childs[i])
}
}
}
func (t *Tree) BFS() {
queue := []*TreeNode{}
queue = append(queue, t.Root)
for len(queue) > 0 {
var first *TreeNode
first, queue = queue[0], queue[1:]
fmt.Printf("%d->", first.Val)
for i := 0; i < len(first.Childs); i++ {
queue = append(queue, first.Childs[i])
}
}
}
'프로그래밍(Basic) > Go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미] Go - BTS가 아닌 BS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1.28 |
---|---|
[바미] Go - Tree BFS 와 Dijkstra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1.26 |
[바미] Go - Packaging 과 Stack, Queu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1.12 |
[바미] Go - 묻고 더블로 가는 Double Linked Lis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1.01 |
[바미] Go - Linked Lis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