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크롬 사용 중에 특정 사이트만 이미지가 사라지는 현상을 겪었습니다.
제가 겪은 현상은 아래와 같은데
- 구글 크롬으로 기본모드 상태에서 블로그 글쓰기가 먹질 않는다.
- 다나와, 깃허브, 등과 같은 곳의 이미지가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였습니다.
그래서 했었던 일들은 먼저 크롬 설정에 진입하여 검색창에 '이미지'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나는데 맨 아래 내려가다 보면
이 부분이 해제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라는 것이 였습니다. 또는 '자바스크립트'가 해제가 되어있는지 확인하라는 것이였는데 둘 다 허용된 상태였기 때문에 머리가 아파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발견한 방법이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여 같은 사이트를 접속 했을 때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크롬 확장 프로그램의 충돌일 가능성이 크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시크릿모드로 했더니 세상에... 그 현상이 안나타나는거 아니겠어요? 그래서 어떤 것이 충돌이 나는지 확인했더니 HTTPS 우회 프로그램 때문이였습니다.
그 이유는다음 카카오, 티스토리 블로그 같이 패킷을 잘게 쪼개는 https SNI 우회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이미지가 제대로 표시 되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https 보안 연결이 적용된 웹페이지 안에 http 프로토콜의 외부 이미지를 삽입한 경우 이미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보안 연결이 적용된 웹페이지 안의 콘텐츠는 모두 https 연결을 해야 하지만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외부 이미지가 사이트 내에 표시되는 경우 크롬에서 막기 때문에 이를 비활성화 해주어야 하기 때문이죠.
저 처럼 크롬 설정 부분을 확인하였음에도 정상 동작하지 않는다면 HTTPS 우회 프로그램 또는 크롬에서 충돌나는 확장 프로그램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확장 프로그램이 없는데 이미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PC 날짜가 동기화가 되어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요즘 웹사이트는 웹 사이트 파싱이나 iFrame등을 이용한 위,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웹사이트에 인증서를 설치해 https보안 연결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웹 사이트에 인증서가 설치된 경우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PC와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간 시간이 맞지 않으면 위,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크롬에서 페이지 접근을 제한하게 됩니다.
네이버, 다음 같은 대형 서비스들은 이미지 서버와 웹 페이지 서버가 다르기 때문에 웹 페이지가 제대로 나오더라도 웹 페이지 안에 포함되니 이미지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윈도우 10에서 특히 위와 같은 버그가 종종 발생 하는 편이기 때문에 윈도우의 날짜 동기화를 껐다 켜는 것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저 처럼 크롬의 버그로 고통받지 않기를 바라며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IT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미] 삼성 갤럭시 Z 폴드3 크기가 확인되었습니다. (0) | 2021.07.12 |
---|---|
[바미] 갤럭시탭 S7과 갤럭시탭 S7 플러스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0) | 2021.07.08 |
[바미] 세잔 프로세서 사용한 경량 노트북 제품 4선 [한 눈에 보는 스펙카드] (0) | 2021.06.29 |
[바미] 2022년 상반기부터 Windows 11 무료 업그레이드 발표! (0) | 2021.06.28 |
[바미] 삼성전자 갤럭시S21 울트라 14만원에 판매?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