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Java는 포인터가 없지만 명시적으로 없을 뿐이지 묵시적으로 내부에선 포인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Golang은 포인터가 있습니다. 대부분 현대 언어는 포인터가 없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고, 포인터 연산자체가 메모리를 직접 접근하기 때문에 위험하기 때문에 다른 언어들은 포인터를 감추어 내부에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인터를 감추다보니 다른 언어에서는 또 다른 문제들이 생겨나게 되었는데요.
내부 기능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고, 이 타입이 Pointer타입인지, Value타입인지를 명시적으로 나와 있지 않다 보니까 프로그래머가 알고 있어야 되는데 그것을 잘 모르고 사용하면 문제가 되는 케이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 반면에 C, C++은 포인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포인터의 연산이나 단순히 포인터가 주소 참조 뿐만 아니라 연산이나 형 변환 등을 이용해서 굉장히 어려운 문제들이 생겨나는데요.
그래서 처음에 C나 C++을 배우게 될 때 시험문제를 내주는 사람이 아주 까다롭게 내기 좋은게 포인터였습니다. (문제를 위한 문제같은....) 그래서 실제로 개발하면서 별로 사용되지 않는 것들이 문제로 나오는 경우들이 많았죠....
예를 들면
int * p = 0x0001;
p += 0x10;
*p = 1000;
*((char *)p) = ?
이런 문제들을 묻는 경우들의 문제를 내기 좋은게 포인터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생겨도 문제, 안생겨도 문제가 생겼는데 Golang은 조금 심플하게 접근을 하였습니다.
Pointer라는게 어쨌든 존재하는 것이고, 명시적이든, 묵시적이든 개발자가 알아야 되는 것이라면 명시적으로 꺼내 놓았고, 대신 기존 C, C++에서 있었던 연산이나 Casting을 막았습니다.
직관적으로 심플하고, 명확하게 사용하자는게 Golang의 포인터의 목적입니다.
이제 코드로 예제를 살펴보죠!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var a int
var p *int
p = &a
a = 3
fmt.Println(a)
fmt.Println(p)
}
포인터도 하나의 형태의 타입이기 때문에 _int_
로 사용해야 하고, p는 a의 메모리 주소를 가지기 때문에 p = &a
로 해야 하는데 p = a
로 하면 *cannot use a (type int) as type _int in assignment*_라는 에러가 나게 됩니다.
해석하면 포인터 타입에 int타입 값을 넣을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 상태에서 값이 어떻게 나오는지 확인해보죠.
3과 a값의 주소 값이 나옵니다.
p의 메모리 주소가 실제 값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var a int
var p *int
p = &a
a = 3
fmt.Println(a)
fmt.Println(p)
fmt.Println(*p)
}
이렇게 수정해주면 됩니다. 그 후 출력시키게 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 변수를 더 추가해서 실행해보죠!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var a int
var b int
var p *int
p = &a
a = 3
b = 2
fmt.Println(a) // a의 값
fmt.Println(p) // a의 메모리 주소
fmt.Println(*p) // p의 메모리주소가 가르키는 메모리의 값
p = &b
fmt.Println(b)
fmt.Println(p)
fmt.Println(*p)
}
이런식으로 수정 해준 뒤 실행해보죠!
위에서 찍힌 a의 메모리 주소와 아래에 찍힌 b의 메모리 주소는 서로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a := 3
b := 2
p *int
p = &a // p == 0xc0000a2058(a의 주소) / *p == 3
p = &b // p == 0xc0000a2070(b의 주소) / *p == 2
a가 있고, b가 있을 때 a와 b의 메모리가 어딘가에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int형 포인터 p가 추가 되어 p의 메모리도 어딘가에 있을 것인데 p의 값은 a의 주소가 된다. 이 때 a의 주소가 p의 변수의 값으로 쓰이게 됩니다. 그랬을 때 p의 메모리 수가 가리키는 값을 가져오면 3이 나오게 되고, p에 b의 주소를 넣게 되면 기존에 있던 값은 지워지게 되고, b의 주소가 p에 다시 쓰여지게 되며 이런게 바로 포인터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 포인터를 어떻게 쓰고, 왜 포인터가 필요하냐면 Struct를 function의 인자를 보냈을 때 그 값을 변경해도 변경되지 않는다 는 점 때문인데 왜 쓰는지 살펴보자면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var a int
a = 1
Increase(a)
fmt.Println(a)
}
func Increase(x int) {
x++
}
a의 값을 1로 설정하고, int형 변수를 받는 Increase()라는 함수가 있고, 이 함수가 하는 일은 단순하게 x를 1증가시켜주는 함수인데 여기에 a를 넣고, a의 값을 출력시키게 되면
a의 값은 1이 출력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증가가 되지 않았다는 것인데
이 이유는 실제로 이 함수의 x라는 변수와 a라는 변수는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존재하는 변수입니다. 그런데 이 함수를 호출 할 때 이 a의 값인 1을 x에 그냥 복사한 것 뿐입니다.
그래서 x의 값도 1이 되지만 이 둘은 서로 다른 변수라는 것입니다. 서로 다른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는 다른 변수이기 때문에 Increase()에서 1을 증가시켜도 이 a는 증가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출력시켰을 때 x는 2겠지만 여전히 a는 1인 것입니다.
x라는 변수의 생명 주기는
func Increase(x int) {
x++
}
여기에 있는 중괄호까지 입니다. 그 중괄호를 벗어나면 더 이상 쓸모 없기 때문에 x는 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남게 되는건 처음에 있었던 a만 있게 되어 값의 변화가 없게 됩니다.
그런데 이거를 다르게 써보죠. x가 int형 포인터라고 가정하고, 그랬을 때 x값은 x에 메모리 주소에 나타내는 값 +1 이라고 해보죠.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var a int
a = 1
Increase(&a)
fmt.Println(a)
}
func Increase(x *int) {
*x++
}
그러니까 x의 x가 가지고 있는 값은 메모리 주소인데 그 메모리 주소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값은 그 메모리 주소가 가르키는 주소의 값(원래 있던 값)에다가 1을 더한 값을 다시 대입 합니다.
그랬을 때 a의 값을 넘기는게 아니라 a의 주소값을 넘겨야 합니다.
이 후 실행해보면
아까는 1이 출력되었는데 지금은 2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crease()함수를 호출 할 때 a의 주소를 넘겼는데 이 주소값은 0xC01...이라고 가정했을 때 이 메모리 값이 x에 복사가 되는 것입니다.
x는 역시 변수니까 어딘가에 x를 위한 메모리 공간이 있을 것입니다.
이 타입이 int형 포인터 일 뿐이다. 그랬을 때 그 값은 이 인자값이 그대로 복사해서 x에 들어 갈 것입니다.
x의 메모리 주소값이 가리키고 있는 값은 x의 메모리 주소값이 가리키고 있는 값 +1입니다.
그러니까 여기에 갈 주소가 가리키고 있는 곳에 값은 여기에 그러니까 여기에 갈 주소가 가리키고 있는 곳에 값에 1을 더한 값입니다.
a는 1이니까 하나를 더해서 2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x의 값이 바뀌는게 아니라 a의 값이 변하게 됩니다.
이게 포인터의 역할입니다. 가장 중요한 역할이자, 포인터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package main
import "fmt"
type Student struct {
name string
age int
class string
grade string
}
func (s Student) ViewGrade() {
fmt.Println(s.class, s.grade)
}
func (s Student) InputGrade(name string, grade string) {
s.name = name
s.grade = grade
}
func main() {
var s Student = Student{name: "Chulsu", age: 23, class: "Science", grade: "A+"}
s.InputGrade("Math", "C")
s.ViewGrade()
}
저번에 했었던 내용을 다시 보면 저번에 Student라는 Struct을 만들고, 그 안에 이름과 나이를 넣어주고, 이번에는 여기 안에 성적과 과목을 적어서 속성들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여기에 s라는 Student를 받아서 성적을 출력해주는 기능도 만들었었고, 성적을 입력하는 기능도 추가했었습니다.
그 후 InputGrade()를 통해 성적을 다시 재조정해서 출력을 했을 때
위와 같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InputGrade("Math", "C")
부분이 적용이 안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함수에서 그냥 s를 받을게 아니라
func (s *Student) ViewGrade() {
fmt.Println(s.class, s.grade)
}
func (s *Student) InputGrade(name string, grade string) {
s.name = name
s.grade = grade
}
이렇게 포인터 형태로 s를 받으면 문제가 해결된다.
이렇게 바꾸고 다시 실행시켜보자!
package main
import "fmt"
type Student struct {
name string
age int
class string
grade string
}
func (s *Student) ViewGrade() {
fmt.Println(s.class, s.grade)
}
func (s *Student) InputGrade(class string, grade string) {
s.class = class
s.grade = grade
}
func main() {
var s Student = Student{name: "Chulsu", age: 23, class: "Science", grade: "A+"}
s.InputGrade("Math", "C")
s.ViewGrade()
}
위와 같이 결과가 바뀐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달라진건 저 함수에 *
하나 추가가 되었을 뿐인데 결과는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그래서 요약하자면 포인터를 함수 인자로 받으면 메모리주소만 복사되고, 값을 함수 인자로 받으면 전체의 속성(이 속성이 Struct 타입이면 그 Struct의 모든 속성이)이 복사 됩니다.
이 둘은 서로 다른 메모리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메모리 변수기 때문에) 여기서 값을 변경해도 원래 호출 했던 값(Original값)은 변경되지 않지만 포인터로 호출하면 그게 같은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고 있는 포인터이기 때문에 변경을 했을 때 Original값도 변경이 된다. 라고 기억하면 됩니다.
'프로그래밍(Basic) > Go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미] Go - 숫자야구를 만들어보자!(2) (0) | 2020.12.22 |
---|---|
[바미] Go - 숫자야구를 만들어보자! (1) (2) | 2020.12.22 |
[바미] Go - 구조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12.21 |
[바미] TDD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12.21 |
[바미] TDD에 대해 알아 봅시다!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