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메모리 릭(memory leak) 현상은 현상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계속 점유하고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할당된 메모리를 사용한 다음 반환하지 않는 것이 누적되면 메모리가 낭비되고, 더 이상 불필요한 메모리가 해제되지 않으면서 메모리 할당을 잘못 관리할 때 발생하죠.
이 일이 어처구니 없는 실수로 제게도 발생해버렸습니다.
실시간으로 조회하는 함수() {
functionA();
...
}
원인은 지속적으로 무언가를 조회하는 함수 안에 있는 functionA() 안에서 의미없는 오브젝트를 생성했기 때문이였는데요.
fucntionA() {
let objectA = new class();
}
이번 일을 계기로 콘솔창에 있는 좋은 기능을 하나 알게 되었는데요.
Perfomance monitor라는 것입니다.
F12키를 눌러 콘솔창을 열어보시면
위와 같은 콘솔창이 뜨게 될텐데 여기에 표시한 부분을 클릭하면
Perfomance monitor를 클릭하여 현재 내 페이지의 퍼포먼스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됩니다.
여러가지를 볼 수 있는데 저 같은 경우엔
표시한 DOM Nodes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의미없는 오브젝트가 어딘가에서 계속 생성되고 있다는 점을 캐치하였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저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Web) > 업무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미]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할 때 (0) | 2022.04.08 |
---|---|
[바미] 이벤트 버블링 (Feat. 너는 움직이면 안돼지..) (0) | 2022.03.30 |
[바미] 백오피스를 고민하다 (0) | 2022.02.10 |
[바미] 무지성 코딩을 줄여보자. (0) | 2022.01.18 |
[바미] JS에서 for-in 보다 for문을 더 쓰자! (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