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Basic)/Golang

    [바미] Go - Linked List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Linked List에 대해 알아 봅시다! Linked List는 연결된 리스트를 의미하는데 요소들을 서로 연결했다고 보면 되는데요. 배열은 하나의 통 메모리를 할당해서 그것을 나눠 쓰는 것인데 그것이 붙어 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Linked List는 붙어있는게 아니라 연결을 해놓은 것입니다. 배열은 한 덩어리로 존재하지만 Linked List는 서로 떨어져있는 메모리들을 한 줄로 연결해 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연결하는 방법은 포인터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Linked List의 한 요소를 Node라고 하는데 이 Node에서 다음 Node로 포인터를 가지고 서로 연결을 시킬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포인터를 가지고 어떻게 연결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Struct를 하..

    [바미] Go - Instance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에는 Instance에 대해 알아보죠. Struct의 복사에 대해 알아 봤었었는데요. 예를 들어 Student라는 struct가 있다 가정하에 type Student struct { name string age int grade int }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게 Student일 때 이것이 복사가 된다 했는데 a라는 애를 만들어서 name이 "aaa", age가 20, grade가 10일 때 마찬가지로 메모리 공간에 a라는 애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때 b = a를 해버리게 되면 b라는 공간을 만들어서 a의 값을 복사하게 됩니다. 코드 상으로 보겠습니다. package main type Student struct { name string age int grade int } func main() {..

    [바미] Go - Slice를 심도있게 알아보자.

    먼저 슬라이스 하나를 만들어 줍니다.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var s []int s = make([]int, 3) s[0] = 100 s[1] = 200 s[2] = 300 fmt.Println(s) }

    [바미] Go - Slice가 왜 Slice인지 알아보자

    Slice가 왜 Slice인지 알아 보도록 해봅시다. Slice는 어떤 일부를 잘라내서 덜어내는걸 말하는데 Golang의 Slice는 일부를 잘라낼 수가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죠. a [10]int 10개짜리 배열이 있다 가정하고 []를 이용해서 배열의 요소를 접근하는데 a [10]int a[3] 이렇게 하면 a의 4번째 배열요소를 가져올 것이다. 그래서 a가 1~10까지 10개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 a[3] == 4 가 될 것 입니다. Slice도 마찬가지 입니다. a []int a[4:7] Slice는 []안에 ':'을 붙여서 숫자 2개를 적습니다. 이 뜻은 첫번째 부분은 시작 index이고 두번째 부분은 마지막Index 부분인데 5~6번째까지 가져옵니다. a[StartIndex..

    [바미] Go - Slice에 대해 알아보자!

    대부분의 현대 언어들은 동적 배열들을 하나씩 가지고 있는데 C++에서는 Vector, Java에서는 ArrayList, C#에서는 List, Python은 Golang과 똑같은 Slice, Golang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렇다면 동적배열이 무엇일까요? 동적배열의 반대가 정적배열인데 정적배열(Fixed size array)은 길이가 바뀌지 않는 배열입니다. [10]int이렇게 사용합니다. 반대로 동적배열은 [] int 이렇게 표시하는데 길이가 변하는 배열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처음에 하나가 되었다가 두개가 되었다가 세개가 되는 배열입니다. 그럼 이걸 어떻게 만들었는지 생각해보죠. 메모리가 늘어날 수는 없습니다. 메모리는 처음 할당받은 사이즈가 있으면 그 사이즈를 그대로 써야지 그 사이즈를 넘어서 ..

    [바미] Go - Garbage Collector에 대해 알아보자!

    Garbage Collector? 말 그대로 쓰레기 청소부 라는 의미인데, Momory에 있는 쓰레기를 청소하는 것입니다. 메모리에 어떤 쓰레기가 쌓이는지 알아보죠! 변수는 여러 속성을 갖지만 가장 중요한 속성은 변수는 메모리다.라는 것입니다. 변수는 값을 담는 그릇인데 var a int 이런식으로 변수를 선언하게 되면 메모리에 이 그릇을 만들었다는 소리이고, 이 그릇이 있는 곳이 메모리 주소인데 그 메모리 주소를 변수 a가 나타내고 있는 것인데 이렇게 변수를 선언해서 메모리를 확보만 해놓고 쓰지 않게되고, 이러한 변수들이 많아지면 메모리만 차지하게 될 것이고, 결국에는 메모리가 부족해서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상황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런걸 메모리에 쌓이는 쓰레기라 해서 Momory Garbage라고 한..

    [바미] Go - 숫자야구를 만들어보자!(2)

    지난번에 이어서 숫자야구를 마저 만들어 보도록 해봅시다! 그 다음은 키보드로 부터 입력값을 받는것인데 여기에 들어가면 알 수 있습니다. func InputNumbers() [3]int { // 두 개의 숫자 3개를 비교해서 결과를 반환한다. var rst [3]int for { var no int _, err := fmt.Scanf("%d", &no) if err != nil { fmt.Println("잘못 입력 했습니다.") continue } for no > 0 { // 1 n := no%10 no = no/10 rst[idx] = n idx++ } break } return rst } 이 Scanf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볼려면 여기에 들어가면 되는데 return값으로 몇 개를 입력받았는지와 실패 시 ..

    [바미] Go - 숫자야구를 만들어보자! (1)

    종이와 게임으로 했었던 게임인데 룰은 간단합니다. 먼저 두 사람이 0 ~ 9까지의 겹치지 않는 숫자 3개를 생각해 둡니다. 첫 번째 A 사람이 2 6 3을 생각해두었고, 두 번째 B 사람이 5 4 1을 생각했다고 가정했을 때, 각자 자기 차례가 되면 숫자 3개를 말합니다. A 사람이 1 2 3이라고 했을 때 B는 상대방이 말한 숫자와 자신이 생각한 숫자와 비교를 합니다. 그래서 자리도 같고 숫자도 같으면 '스트라이크', 숫자는 같지만 자리가 다르면 '볼'이 됩니다. 그러면 B는 5 4 1을 생각했었고, A는 1 2 3을 외쳤으니 1 볼이 되죠. 그렇게 해서 B차례가 되었고, A에게 마찬가지로 1 2 3을 외쳤을 때 2 6 3과 1 2 3을 비교해보면 2는 숫자가 있지만 자리가 다르고, 3은 자리와 숫자가..

    [바미] Go - 포인터에 대해 알아보자!

    C#, Java는 포인터가 없지만 명시적으로 없을 뿐이지 묵시적으로 내부에선 포인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Golang은 포인터가 있습니다. 대부분 현대 언어는 포인터가 없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고, 포인터 연산자체가 메모리를 직접 접근하기 때문에 위험하기 때문에 다른 언어들은 포인터를 감추어 내부에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인터를 감추다보니 다른 언어에서는 또 다른 문제들이 생겨나게 되었는데요. 내부 기능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고, 이 타입이 Pointer타입인지, Value타입인지를 명시적으로 나와 있지 않다 보니까 프로그래머가 알고 있어야 되는데 그것을 잘 모르고 사용하면 문제가 되는 케이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 반면에 C, C++은 포인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포인터의 연산이나 ..